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자진단14

Flow cytometer에서 compensation의 목적과 구체적인 방법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단일 세포 수준에서 다양한 특성을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특히, 여러 종류의 형광 염료를 동시에 사용하여 세포 표면이나 내부에 있는 다양한 단백질(항원)의 발현을 한 번에 측정하는 다중 색상(Multicolor) 분석은 면역학, 암 연구, 줄기세포 연구 등 다양한 생명과학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하지만 여러 형광 염료를 사용하면 필연적으로 각 형광 염료가 내는 빛의 스펙트럼 일부가 다른 형광 염료를 검출하기 위한 채널(Detector)에도 감지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스펙트럼 중첩(Spectral Overlap)' 또는 '형광 누출(Spillover)'이라고 불리는 문제라고 합니다. 마치 여러 악기가 동.. 2025. 5. 1.
Flow cytometer (유세포 측정기)의 원리와 임상적 적용 세포 수준의 정밀 분석, 유세포 분석기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혹시 혈액 검사를 받아보신 적 있으신가요? 혈액 속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다양한 종류의 세포들이 존재하는데요, 이 세포들의 수나 종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질병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수많은 세포들을 하나하나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은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일이지요. 마치 밤하늘의 별을 일일이 세는 것과 같다고 할까요?바로 이때, 유세포 분석기(Flow Cytometer)라는 놀라운 기술이 등장하여 이 문제를 해결해주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세포 연구와 임상 진단의 혁명을 가져온 유세포 분석기의 기본 원리는 무엇이며, 실제로 의료 현장과 연구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아주 깊이 있게 .. 2025. 4. 30.
Isothermal PCR의 원리와 장단점, 적용분야 혹시 SF 영화 속에서 주인공이 휴대용 기기로 즉석에서 바이러스를 검출하거나 유전자를 분석하는 장면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과거에는 상상 속 이야기처럼 들렸을지 모르지만, 오늘날 분자 진단 기술의 눈부신 발전 덕분에 이러한 장면들이 점차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현장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유전 물질을 검출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기존의 복잡한 실험실 장비 없이도 작동하는 새로운 방식들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그 중심에 바로 '등온 핵산 증폭 기술(Isothermal Nucleic Acid Amplification Technology)', 줄여서 Isothermal PCR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그렇다면 Isothermal PCR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아주 쉽게 비유하자면, 기존의 PCR 기.. 2025. 4. 20.
세균 동정을 위한 16s rRNA 염기서열방법의 목적, 원리, 적용 우리 주변 세상은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생명체, 바로 미생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흙 한 줌에는 수십억 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고, 우리 몸속, 특히 장에는 우리 몸 세포 수보다 훨씬 많은 미생물이 공존하며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지요. 때로는 김치나 치즈 같은 맛있는 발효 식품을 만들어주기도 하고, 때로는 무서운 감염병을 일으키기도 하는 이 미생물들의 정체를 정확히 아는 것은 그래서 매우 중요합니다.마치 우리가 처음 만난 사람의 이름을 묻고 신원을 확인하듯이, 미생물 세계에서도 "이 미생물은 누구인가?" 를 밝히는 동정(Identification) 과정은 필수적입니다. 그런데 수많은 종류의 미생물을 어떻게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 과거에는 현미경으로 모양을 보거나 특정 영양분을 먹는지, 어떤 물.. 2025. 4. 18.
Microarray 검사의 원리와 방법, 적용 분야 여러분은 혹시 수천, 수만 가지 종류의 상품이 빼곡히 들어찬 거대한 창고에서 특정 상품 몇 가지를 찾아내야 하는 상황을 상상해 보신 적이 있나요? 혹은 복잡한 질병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환자의 몸속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생화학적 변화들을 동시에 추적해야 하는 경우는 어떻습니까?만약 이러한 일들을 하나하나 개별적으로 확인해야 한다면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이 수많은 정보들을 단 한 번의 실험으로, 마치 넓은 풍경 사진을 찍듯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면 어떨까요? 바로 이것이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기술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놀라운 능력입니다.이번 시간에는 바로 이 마이크로어레이 검사의 세계로 깊이 들어가 보고자 합니다. 이 기술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 2025. 4. 15.
염기서열분석의 역사와 종류, 특징, 차이점 인류는 오랫동안 생명의 근본적인 설계도를 이해하고자 노력해왔습니다. 마치 복잡한 기계의 설명서를 읽듯,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해독하려는 시도는 과학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었지요. 여러분은 혹시 영화 '가타카'나 '쥬라기 공원'에서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의 운명을 예측하거나 멸종된 공룡을 복원하는 장면을 기억하시나요?이러한 공상 과학 영화 속 이야기가 현실에서 점차 가능해지고 있는 것은 바로 염기서열분석(Sequence Analysis) 기술의 눈부신 발전 덕분입니다. 그렇다면 이 염기서열분석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발전해 왔을까요?이번 시간에는 바로 이 염기서열분석이라는 흥미로운 기술의 세계로 깊이 들어가 보고자 합니다. 마치 탐험가가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듯, 염기서열분석의 탄생부터 .. 2025. 4. 13.
Pyrosequencing 의 원리와 방법, 적용 분야 혹시 SF 영화 속에서 복잡한 기계가 순식간에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해독하는 장면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현실에서는 조금 더 복잡하지만, DNA 염기서열을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기술은 현대 생명과학과 의학 연구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적인 도구가 되었습니다. 특히 질병의 원인을 밝히거나,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고, 심지어는 범인을 식별하는 데에도 이 기술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요. 과거에는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데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는 훨씬 빠르고 저렴하게 분석이 가능해졌습니다.이러한 기술 발전의 중심에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이 있습니다. NGS는 기존의 생어 시퀀싱(Sanger seque.. 2025. 4. 13.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RT-PCR)의 원리와 방법, 적용 분야 최근 몇 년간 전 세계를 강타했던 COVID-19 팬데믹 상황을 기억하실 겁니다. 매일같이 발표되는 확진자 수 뒤에는 감염 여부를 판정하는 진단 검사의 노력이 숨어있었는데요, 그 중심에 바로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이라는 기술이 있었습니다. 이 기술 덕분에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바이러스의 존재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지요.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궁금증이 생깁니다. PCR은 원래 DNA를 증폭하는 기술로 알려져 있는데, SARS-CoV-2와 같은 RNA 바이러스는 어떻게 PCR로 검출할 수 있었을까요? 마치 영어로 쓰인 책의 내용을 복사하고 싶은데, 복사기가 한글만 인식하는 상황과 비슷하다.. 2025. 4. 13.
FISH (Flou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의 원리와 방법, 적용 분야 우리 몸의 세포 하나하나에는 생명의 모든 정보가 담긴 거대한 도서관, 즉 유전체가 존재합니다. 이 도서관에는 수많은 책(염색체)이 있고, 각 책에는 무수히 많은 이야기(유전자)가 적혀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우리가 특정 이야기, 예를 들어 특정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가 이 도서관 어디에 있는지, 혹은 그 이야기가 원래 있어야 할 곳에 제대로 있는지, 아니면 혹시 복사본이 너무 많거나 일부가 사라지지는 않았는지 알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마치 거대한 도서관에서 특정 단어가 포함된 페이지를 정확히 찾아내는 것처럼, 세포 속 특정 유전자나 염색체 영역의 위치와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생명 현상을 이해하고 질병을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바로 이때, 형광 제자리 부합법(Fluorescence In Sit.. 2025. 4. 13.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의 개념, 원리, 방법, 적용 분야 이번 시간에는 현대 생명과학과 의학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꾼 혁신적인 기술,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혹시 몇 년 전, 유명 할리우드 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유방암과 난소암 발병 위험을 낮추기 위해 예방적 유방 절제술 및 난소 절제술을 받았다는 소식, 기억하시나요? 그녀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BRCA1 유전자에 변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 변이가 유방암과 난소암 발병 위험을 극도로 높인다는 의학적 소견에 따라 어려운 결정을 내렸습니다 [1].이 사례는 유전 정보가 개인의 건강과 질병 예측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극명하게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핵심적인 유전 정보는 어떻게 알아낼 수 있었을까요? 바.. 2025. 4. 13.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의 정의, 임상적 의의, 검사 방법 우리 인간은 모두 같은 '사람'이라는 종에 속하지만, 놀랍도록 다채로운 모습과 특성을 지니고 살아갑니다. 쌍둥이가 아닌 이상, 세상에 외모부터 성격, 심지어 특정 질병에 걸릴 확률이나 약물에 대한 반응까지 완전히 똑같은 사람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개개인의 고유함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일까요?그 근본적인 해답은 바로 우리 몸의 세포 핵 속에 담긴 방대한 유전 정보, 즉 DNA 염기 서열의 미세한 차이에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유전적 다양성을 만들어내는 가장 핵심적인 주역이 바로 오늘 우리가 탐구할 '단일 염기 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줄여서 SNP(스닙)입니다."뭐? DNA 염기 서열? 그 복잡한 걸 알아야 한다고? 그냥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다는.. 2025. 4. 13.
대표적인 분자진단 검사의 종류, 기본 원리, 방법 현대 의학의 눈부신 발전 속에서 질병의 진단과 치료 전략 수립에 혁신을 가져온 핵심 기술 중 하나는 바로 분자진단(Molecular Diagnostics)입니다. 이는 우리 몸의 근본적인 유전 정보가 담긴 DNA와 RNA, 즉 핵산(Nucleic Acids)을 직접 분석하여 질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예측하는 정밀한 접근 방식입니다. 과거의 진단법들이 주로 질병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했다면, 분자진단은 질병 발생의 근원, 즉 유전 정보 자체의 변화나 외부 침입자의 유전적 흔적을 직접 탐지함으로써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정확성과 민감도를 제공합니다.'PCR 검사', '유전자 검사', 'NGS' 등 익숙하면서도 때로는 어렵게 느껴지는 이 용어들은 모두 분자진단의 범주에 속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검사들은.. 2025. 4. 11.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Realtime PCR)의 원리와 방법, 적용 분야 혹시 질병 진단이나 유전자 연구에 관한 소식을 들으면서 'PCR 검사'라는 용어를 자주 접해보셨을 것입니다. 특히 최근 감염병 진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우리에게 매우 친숙해진 기술인데요. 그런데 이 PCR이라는 단어 앞에 '실시간(Real-time)'이라는 말이 붙으면, 과연 무엇이 달라지는 것일까요? 단순히 유전 물질을 증폭시키는 것을 넘어,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이하 Real-time PCR 또는 qPCR)은 현대 생명과학 연구와 임상 진단 분야에서 그야말로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온 핵심 기술로 굳건히 자리 잡았습니다.Real-time PCR의 진정한 힘은 DNA나 RNA와 같은 핵산을 증폭시키는 과정과 동시에, 그 증폭되는 .. 2025. 4. 11.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의 원리와 방법, 적용 분야 현대 생명 과학과 의학의 눈부신 발전 연대기를 펼쳐볼 때, 그 어떤 기술보다도 혁명적인 변곡점을 제공하며 시대를 구분 짓는 이정표 역할을 한 기술을 꼽으라면 단연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즉 PCR을 빼놓을 수 없을 것입니다. 1983년, 기발한 발상과 끈질긴 노력 끝에 캐리 멀리스(Kary Mullis) 박사가 그 원리를 정립한 이 기술은, 마치 어둠 속에서 길을 밝히는 등대처럼, 이전 시대의 과학자들이 상상조차 하기 어려웠던 방식으로 DNA라는 생명의 근본 물질을 탐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의 문을 활짝 열어젖혔습니다. PCR의 등장은 분자생물학 분야에 가히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가져왔으며, 그 공로로 멀리스 박사는 1993년 노벨 화학상의 영예를 .. 2025. 4.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