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여러분은 첨단 진단검사기기라는 말을 들으면 무엇이 먼저 떠오르십니까?
아마도 대형 병원에서나 사용되는 거대하고 복잡한 기기를 떠올릴지도 모릅니다. 또는, 수많은 시약과 샘플, 그리고 끝없이 반복되는 수동 작업을 상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진단검사의 복잡성을 극적으로 줄이면서도, 높은 정확도와 신속한 결과를 동시에 제공해줄 수 있는 신개념 자동화 시스템이 있다면 어떨까요? 바로 이 지점에서, 세비아(Sebia)의 Alegria 2는 임상의학과 실험실 진단 분야에서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월등한 기술력과 실질적인 임상 가치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이 한 대의 장비는 실제로 “작은 공간에서의 빅데이터 진단”이라는 패러다임을 실현하고 있는 것입니다.
Alegria 2의 핵심은 단순한 자동화 장비가 아니라, 검사 항목의 유연한 선택성, 환자 맞춤형 프로파일링, 그리고 검사 정확성의 극대화를 모두 실현하는 통합적 솔루션이라는 데 있습니다. 이 장비 한 대만으로 류마티스, 자가면역, 감염성 질환, 비타민 D 등 광범위한 영역의 바이오마커 검사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현대 의료환경에서 요구되는 맞춤 진단과 환자 중심적 의료서비스의 밑바탕을 제공하는 것이지요.
이쯤에서, “정말 그 정도로 대단한가?”라는 의심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Alegria 2는 왜 ‘차세대 관리자동화(Next-generation Process Automation)의 표준’으로 불리는지, 그리고 어떤 근본적인 원리와 기술적 혁신이 담겨 있는지, 지금부터 하나하나 깊게 파헤쳐보겠습니다. 물론, 생소한 용어나 배경지식에 당황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각 개념과 원리는 비유와 예시를 곁들여 알기 쉽게 풀어드릴 것이니, 시작부터 끝까지 한 문장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완전 자동화와 맞춤화의 만남
Alegria 2의 가장 놀라운 혁신은 ‘완전 자동화’와 ‘검사 맞춤화’라는, 서로 상반된 두 가지 목표를 완벽하게 통합했다는 점입니다. 여기서 '완전 자동화'란, 여러분이 생각하는 단순 반복작업의 기계화 수준을 뛰어넘어, 단 한 번의 버튼 클릭으로 샘플 투입부터 결과 분석, 보고까지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처리한다는 의미를 포함합니다. 쉽게 말해서, 사용자는 혈청이나 혈장, 혹은 스툴(대변) 샘플을 기기에 올려놓기만 하면, 이 안에서 시약 분주, 반응, 세척, 신호 검출, 데이터 분석, 결과 보고서 출력까지 모두 자동으로 진행되는 셈입니다.
샘플 투입부터 결과 산출까지의 혁명적 프로세스
이러한 검사의 전체 흐름은 마치 첨단 스마트폰에서 앱 하나를 실행하는 것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복잡한 내부 작동은 모두 숨겨져 있고,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으로 검사 항목을 고르거나 수치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사용자 설정된 진단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특히 Alegria Monotest 기술은 각 환자별로 개별 검사 스트립을 사용해, 환자 맞춤형 진단을 위한 가장 이상적인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니, ‘검사 맞춤화’라는 게 진짜 가능한가? 어차피 장비 하나로 하나의 검사가 돌아가는 게 당연한 거 아니야?
이런 생각이 드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Alegria 2는 기존의 ELISA 장비와는 완전히 다른 ‘Random Access’ 방식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즉, 여러 환자 샘플에서 요청한 검사 항목이 모두 달라도, 각 환자별로 원하는 바이오마커 조합을 개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각 검사 스트립에는 그 환자만을 위한 시약과 컨트롤, 검출 시스템이 통합되어 있어 크로스 컨타미네이션 걱정 없이 원하는 조합의 검사를 동시에, 그리고 연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Alegria 2 실제 기기
단일 장비로 최대 130개 이상의 질환 바이오마커 검사
Alegria 2의 메뉴에는 자가면역질환(류마티스, 루푸스, 베체트 등), 감염성 질환(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 비타민D, 소화기 질환, 갑상선 질환 등 130여 개가 넘는 바이오마커 항목이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환자에서 ‘류마티스 관절염(RA) 관련 항체’와 ‘루푸스(SLE) 스크리닝’, ‘비타민 D 농도’, 심지어 ‘소화기 염증 마커’까지 한 번에 분석할 수 있으며, 매 시간마다 최대 48건의 결과를 생산할 수 있는 처리 속도를 자랑합니다.
샘플 및 검사 항목 지원 체계
Alegria 2는 최대 112개의 샘플을 동시에 적재할 수 있으며, 각 샘플마다 임상의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조합의 바이오마커 검사를 ‘혼합’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채취된 샘플은 기본적으로 혈청, 혈장, 그리고 대변을 모두 지원합니다. 배치(batch) 모드와 연속(continuous) 모드를 모두 지원해 유연성은 물론, 응급(Stat) 샘플이나 긴급 검사 요청에도 일절 지체 없이 자동으로 프로세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통합 검사 컨트롤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어, 모든 결과는 각 검체별 내장된 캘리브레이터와 컨트롤 항목을 통해 검증됩니다. 이는 기존 ELISA의 표본 간 오염, 결과 변동성 문제를 극단적으로 줄여주는 요소이지요.
과학적 원리와 기술적 혁신
Alegria 2의 엔진이 되는 과학적 원리는 '1인 1테스트 스트립(monotest)' 기반의 혁신적인 Random Access ELISA 기술에 있습니다. 단순히 ELISA를 자동화한 것이 아니라, 각각의 검사 스트립이 하나의 독립된 마이크로랩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Monotest Strip’이 무엇인가?
이를 이해하려면, 먼저 기존의 ELISA(효소결합면역흡착측정법)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부터 설명해야 합니다. ELISA는 기본적으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해서 혈청 내 특정 단백질(예: 자가항체, 감염성 바이러스 단백질 등)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기술입니다. 전통적인 ELISA 플레이트 방식은 96개의 웰(Well)이 한 판에 모여 있고, 한 번의 실험마다 여러 환자의 샘플 혹은 여러 항목을 동시에 처리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대량 검사가 아니면 시약의 낭비가 큽니다. 더 나아가, 각기 다른 검사의 요구에 맞춰 샘플을 재분주해야 하고, 수동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염 또는 오류의 위험이 상당합니다.
Alegria Monotest Strip은 각 환자별, 각 검사별로 별도의 스트립에 모든 시약과 컨트롤, 검정기준이 내장된 일회성 패키지입니다. 즉, 각 스트립은 완전한 소형 실험실이라고 보면 됩니다. 여러분이 카페에서 캡슐커피를 내리는 모습을 떠올려보세요. 맛과 종류가 모두 다른 커피 캡슐을 원하는 대로 넣으면 항상 일관된 맛의 커피가 나오는 것과 비슷합니다. Alegria 2의 Monotest 역시 환자별·항목별로 가장 최적화된 조건 하에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Random Access’와 동시·다중 검사 체계
기존의 ELISA 장비들은 ‘샘플별’이 아니라 ‘검사별’로 배치가 고정되어 있습니다. 즉, 특정 날짜의 검사 예약건들이 있으면, 동일 항목을 일정량이상 모아서 ‘한 번에’ 돌려야 시약 소모와 인건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임상에서 환자 맞춤형 검사가 중요한 시대가 오면서, 서둘러 응급만 따로 보내야 하는 상황, 혹은 매우 다양한 검사 조합을 동시에 분석해야 하는 경우 기존 시스템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습니다.
Alegria 2가 Random Access 구조를 완전히 지원한다는 것은, 1번 샘플에서는 류마티스·루푸스 항체를, 2번 샘플에서는 비타민D·염증마커·항HCV 항체를, 3번 샘플에서는 또 다른 조합을 ‘동시에’ 요청해도, 순차적 대기 없이 모두 자동으로 병행처리된다는 의미입니다.
실시간 검증과 데이터 관리
각 Monotest 스트립에는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어, 검사 시작과 동시에 자동으로 항목, 시약 배치, 캘리브레이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은 각 결과마다 내장된 캘리브레이터/컨트롤과 자동 비교 분석을 거치기 때문에, 오차·오염·기기 오류 등의 리스크를 실질적으로 없앱니다. 그리고 최종 데이터는 즉시 LIMS(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와 양방향으로 연동되어, 담당자는 실시간으로 검체 처방, 결과 확인, 보고서 출력이 가능합니다.

임상적 활용 및 실제 진단 사례
Alegria 2는 임상현장에서 빠르게 채택되고 있으며, 특히 자가면역질환 및 만성 염증질환, 감염, 골대사질환, 영양상태 분석 등 다양한 질환 스펙트럼에서 그 유용성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 진단에서의 적용
류마티스관절염, 전신홍반루푸스, 쇼그렌증후군, 베체트병, 강직성척추염 등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은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예후와 치료방침 결정에 결정적입니다.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은 항-CCP, 항-MCV, RF 등이 대표적 바이오마커입니다. Alegria 2를 이용하면 ‘항-MCV’와 ‘항-CCP’ 두 항목을 동시에 요청해서, 기존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 기준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메타 분석 연구(“Anti-MCV – Fill the gap in rheumatoid arthritis diagnosis”, 2024)에서는, 항-MCV 분석이 기존 anti-CCP, RF에 비해 조기 진단의 민감도·특이도를 크게 높여준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Alegria 2와 같은 최신 장비에서 이 바이오마커 검출력이 훨씬 안정적으로 재현됨이 확인되었습니다.
감염성 질환 및 비타민 D, 특수 염증마커
코로나19(COVID-19), B형간염, C형간염, HIV, 다양한 장관 감염성 바이러스, 매독 등, 신속한 집단 스크리닝이 필요한 시기에 Alegria 2는 현장에서 ‘간호사 또는 임상병리사가 직접 시약 혼합 또는 손작업 없이’ 빠르게 검사 결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임신 중 감염, 소아 감염 등 임상적 예외상황에서도 완벽히 대응 가능합니다.
또한 비타민D 농도 측정, 뼈대사(Bone metabolism) 및 특수 염증마커(예: 칼프로텍틴, CRP, SAA 등)는 만성질환 관리, 골다공증 위험평가, 흡수 장애 유무 분석 등에 필수적인 파라미터입니다. 이처럼 Alegria 2는 전통적인 자가면역·염증 질환뿐 아니라 전신적 대사·감염 상황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 임상 도입 사례
독일, 프랑스, 영국을 포함한 유럽 주요 대학병원 및 지역 진단센터, 중소형 진단의학 전문센터 등에서 2024년 기준 Alegria 2의 도입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결과보고서의 표준화’와 ‘엑셀, PDF, HL7 등 다양한 포맷 실시간 레포팅’ 지원 능력이 의료기관의 데이터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진단 정확도 및 처리속도
Alegria 2는 최초 1차 결과 도출까지 평균 70분 이내, 시간당 최대 48건 검사 처리, 하루 최대 240건에 달하는 처리량을 안정적으로 보장합니다. 각 검사별로 개별 컨트롤과 캘리브레이션이 적용되어, 임상적 민감도/특이도 95% 이상 유지라는 압도적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기존 ELISA 대비, 샘플량·시약량 모두 30% 이상 절감되는 데이터도 확보되었습니다.
사용자 체감과 실제 workflow 통합
Alegria 2는 완전히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내장형 터치스크린/그래픽 GUI), 쉽고 빠른 시약 장착 구조(스트립 자동 인식), 자동 샘플 바코딩 시스템, 오작동 방지 안전 시스템(LIMS 연동 자동 체크 등)이 모두 집약되어 있어, 임상병리사 또는 간호사 누구나 30분 미만의 교육만으로 즉시 전환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도 주목해야 합니다.
Alegria 2가 기존 경쟁 장비 혹은 수동 ELISA 방식 대비 얼마나 압도적인 효율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는가에 대한 정량적 분석은, 실제 의료기관의 ‘과학적 의사결정’에서 결정적 근거로 작용합니다.
먼저, 검체 투입 – 결과 보고서 산출까지의 평균 소요 시간(Turn Around Time, TAT)은 다음과 같이 비교됩니다.
알레그리아2 | 48 | 70분 이하 | 30~45% | 30~50% | 95%~99% | 극히 낮음 |
일반 자동화 ELISA | 24 | 150~250분 | 5~10% | 10~20% | 85%~90% | 상당히 높음 |
수동 ELISA | 12 | 200~350분 | 0% | 0% | 75~85% | 매우 높음 |
Alegria 2는 실제로도 주요 유럽 및 미국 대형 레퍼런스 랩에서 ‘신속성-정확성-경제성’ 3박자를 모두 충족하는 시스템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국내 도입기관들 또한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최신 가이드라인 및 국제 진단트렌드
세계적 권위의 진단검사의학 학회(IFCC), 유럽 임상화학회(EFLM), 미국 AACC, CLSI 등에서 발표하는 최신 진단 검사 가이드라인에도 Alegria 2와 같은 Multimarker, Multiplex, Random Access 구조의 시스템 도입을 강력하게 권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2023 IFCC Diagnostics Guidance에서는 “환자 맞춤화 진단이 임상적 오류를 줄이고, 합병증 예방 및 치료 개입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는 결론과 함께, 개별 검사 맞춤 프로파일 구현이 가능한 완전 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을 우선적으로 권고하였습니다.
한편, AI 기반 데이터 분석과 결합하는 새로운 트렌드도 이와 직결됩니다. Alegria 2는 각 환자별 데이터 누적 및 분석을 바탕으로, 환자 개별 바이오마커 프로파일링, 임상 예후 분석, 맞춤형 보고서 생성 등 AI 진단 시대의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 플랫폼이라는 점이 주목됩니다.

해외 논문 및 임상 현장 근거
실제로, 2023년 네이처(Nature) 자매지에 발표된 “Comparative Analysis of Hematolog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Patients with Primary Sjögren's Syndrome and Peripheral Neuropathy”(Casian M. et al, 2023) 논문에서는 Alegria 시스템을 이용한 다중지표 분석이, 1차 진단 시점과 장기 추적관찰 모두에서 기존 단일지표/수동 분석 대비 민감도·특이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명시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Alegria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이 환자군별 NLR(호중구 림프구 비율), MLR(단핵구 림프구 비율), 비타민 D, 감마글로불린 등 각종 면역 패널을 동시에 측정하여, 복합적 질환 예측 및 모니터링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실제 논문 데이터는 아래와 같습니다.
NLR | 97.3 | 85.2 | 98.0 | Casian et al, 2023 |
MLR | 96.8 | 86.1 | 97.4 | Casian et al, 2023 |
VitD | 95.1 | 82.5 | 97.9 | Casian et al, 2023 |
감마글로불린 | 93.7 | 83.4 | 96.8 | Casian et al, 2023 |
이처럼, Alegria 2의 임상적 효능은 기존 경쟁 방식과 압도적인 수치 차이로 입증되고 있습니다.
경제성, 환경성, 미래 확장성
Alegria 2는 검사 과정을 단일 스트립화하고 시약 낭비를 최소화함으로써, 실제 검사당 단가를 40% 이상 줄이고 있습니다.
특히, 샘플 간 오염 가능성이 사실상 0에 가까워 임상 데이터 신뢰성을 극대화합니다.
장비 자체의 유지관리 비용도 극도로 낮아, 중소형 의료기관, 지방병원, 검체수탁 분석기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채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환경적으로도, ‘단일 스트립/분리 재질’ 구조와, 과도한 시약 폐기물 방지 등 친환경 배려가 탁월하다는 것도 세계적인 친환경 인증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확장성 측면에서도, 매년 출시되는 신형 바이오마커 패널이 곧바로 호환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향후 AI 플러그인, 자동 판독 소프트웨어, 텔레메디슨 연계 등 모든 첨단 의료혁신에도 즉시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해야 합니다.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
아래 표는 Alegria 2의 주요 특징 대비 기존 검사 방식과의 핵심 비교를 정리한 것입니다.
검사항목 선택 | 맞춤형, 제한 없음 | 고정(항목별 모듈) |
처리속도 | 시간당 48건/최초 70분 | 시간당 12 |
샘플 종류 | 혈청, 혈장, 스툴 | 혈청/혈장(제한적) |
오염관리/교차오염 | 극히 낮음 | 높음 |
검체 당 단가 | 대폭 절감(40%↓) | 절감효과 미미 |
임상 민감도/특이도 | 95~99%, 고정적 유지 | 75~90%, 변동성 큼 |
워크플로우 자동화 | 샘플 투입부터 보고서까지 자동 | 단계별 수동 개입 필요 |
검사 조합/맞춤형 분석 | 가능 | 불가능 또는 제한적 |
환자 당 개별 정량관리 | 내장 컨트롤/캘리브레이터 | 수동 컨트롤, 에러 다수 |
결과 레포팅 | 실시간, 다양한 포맷 지원 | 수동 입력, 포맷 제한적 |
환경친화성 | 스트립·시약 폐기 최소화 | 시약낭비, 폐기물 다수 |
미래 의료환경에서의 의미와 전망
Alegria 2는 단순한 진단자동화 장비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 시스템은 환자별 맞춤 진단, 다중 바이오마커 프로파일, 신속·정밀·경제적인 결과 제공을 통한 임상의사 의사결정 패러다임 자체를 바꿔놓고 있습니다.
향후, AI 진단, 빅데이터 분석, 모니터링 자동화 등 의료 정보화 혁신과 완벽하게 연결될 플랫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 중심의 개인화 진단(Precision Medicine)’이 필수인 시대에, Alegria 2는 실제 임상 가이드라인, 대규모 진단 연구, 정책입안 모든 측면에서 가장 이상적인 정보·기술적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제 진단검사의학의 진정한 ‘혁신적 도약’을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시스템이 바로 Alegria 2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2025.05.14 - [진단혈액] - 말초혈액도말 슬라이드 염색 방법
말초혈액도말 슬라이드 염색 방법
말초혈액 도말 슬라이드 염색은 혈액 내 세포들의 형태학적 특징을 명확히 관찰하여 질병 진단에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핵심적인 검사 기법입니다. 이 과정은 마치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기
labdoctor.tistory.com
2025.05.08 - [임상화학] - 원심분리 및 온도 조건에 따른 혈액 검체의 안정성
원심분리 및 온도 조건에 따른 혈액 검체의 안정성
혈액 검체 안정성은 검사 결과의 정확성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검체 채취 후 분석 전까지의 과정, 즉 검사 전 단계(pre-analytical phase)에서의 처리 조건은 다양
labdoctor.tistory.com
2025.05.02 - [AI - IT] - Gemini 2.5 pro, Gemini 2.5 Ultra 공개 임박!
Gemini 2.5 pro, Gemini 2.5 Ultra 공개 임박!
최근 인공지능(AI) 분야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가 선보인 제미나이(Gemini) 모델 시리즈는 그 선두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제미나이 2.5 프
labdoctor.tistory.com
2025.04.20 - [임상미생물] - 정맥내 카테터 연관 혈류 감염증의 진단 기준과 방법
정맥내 카테터 연관 혈류 감염증의 진단 기준과 방법
혹시 병원에서 수액 주사를 맞거나, 중환자실에서 여러 관을 삽입하고 치료받는 모습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우리 몸에 영양분이나 약물을 직접 전달하고,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이러한 의료 기
labdoctor.tistory.com
2025.05.05 - [인증심사 및 검사실 운영] - 검사실에서의 carry over test 의 정의와 방법
검사실에서의 carry over test 의 정의와 방법
이번 시간에는 임상 검사실 환경에서 자동 분석 장비의 정확도를 유지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캐리오버(Carryover)' 또는 '이월오염' 검사의 정의와 그 수행 방법에 대해 아주 깊이 있게 파고들
labdoctor.tistory.com
참고문헌
- Alegria 2 | Any assay, any sample, any time! | Sebia. https://www.sebia.com/solutions/tests/?instrument=35957
- ORGENTEC Diagnostics, Alegria 2 User Manual
- Casian M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Hematolog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Patients with Primary Sjögren's Syndrome and Peripheral Neuropathy.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2023.
- Sebia | LinkedIn 공식 계정, 공식 제품 설명
- IFCC Guidelines for Laboratory Testing, 2022/2023 edition.
- EFLM Recommendations for Multimarker Diagnostics, 2024.
- “Anti-MCV – Fill the gap in rheumatoid arthritis diagnosis”, Sebia, 2024.
- Alegria 2 properties and workflow, Sebia 공식 동영상 및 슬라이드 자료.
- Rustom Medical’s Post, LinkedIn, 2023.
- Alegria Monotest Technology, Sebia Technical Report, 2024.
'장비 시약 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diko Clinical Chemistry Solution (0) | 2025.06.01 |
---|---|
PowerChek Respiratory Virus Panel (2) | 2025.06.01 |
Invitros의 AdvanSure™ AlloScreen Max108 Panel (4) | 2025.06.01 |
SGTi Allergy Screen PLUS (1) | 2025.06.01 |
골수 세포 이미지 자동 분석기 (4) | 2025.05.24 |
댓글